많은 분들이 “대학원”을 영어로 바로 graduate school이라고 외웁니다. 맞는 표현이지만, 실제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다른 단어들이 함께 쓰이고, 해외에서는 약간씩 의미가 다르게 받아들여집니다. 오늘은 대학원 영어 표현을 정리하고, 석사·박사 과정과 같은 세부 명칭, 그리고 실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쓸 수 있는 문장들을 소개합니다.
Graduate School – 가장 기본적인 표현
미국에서 대학원은 보통 graduate school이라고 부릅니다. 줄여서 grad school이라고 말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학부(bachelor’s degree)를 마친 뒤 더 높은 학위를 받기 위해 진학하는 모든 과정, 즉 석사와 박사 과정 전체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표현입니다.
예문
- I’m applying to graduate school next year.
(나는 내년에 대학원에 지원할 예정이야.) - She is in grad school for psychology.
(그녀는 심리학 대학원에 다니고 있어.)
Postgraduate Course – 영국식 표현
영국, 호주 등 영연방 국가에서는 postgraduate course라는 표현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 post = 이후, graduate = 학부 졸업생 → “학부 이후의 과정”이라는 의미
- 학위 과정에 따라 postgraduate diploma, master’s degree, PhD program으로 구분합니다.
예문
- He’s doing a postgraduate course at Oxford.
(그는 옥스퍼드에서 대학원 과정을 하고 있다.)
대학원 과정에 따른 영어 표현
Image by Freepik
현재 이수하고 있는 대학원 과정에 따라서 다른 표현에 대해 표로 정리해보았습니다.
한국어 표현 | 영어 표현 | 비고 |
대학원 | Graduate school / Postgraduate course | 미국 vs 영국식 차이 |
석사 과정 | Master’s program | Master’s degree 과정 |
박사 과정 | Doctoral program / PhD program | PhD = Doctor of Philosophy |
전문대학원 | Professional school | 예: law school, medical school |
석사, 박사 구체적으로 말하기
대학원에 다닌다고만 하지 않고, 어떤 과정을 밟는지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Master’s degree: 석사 학위
- She received her Master’s in Economics.
(그녀는 경제학 석사를 받았다.)
- She received her Master’s in Economics.
- PhD (Doctor of Philosophy): 박사 학위
- He is pursuing a PhD in Engineering.
(그는 공학 박사 과정을 밟고 있다.)
- He is pursuing a PhD in Engineering.
- Doctoral program은 박사 과정 전체를 의미합니다.
- Admission to the doctoral program is very competitive.
(박사 과정 입학은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 Admission to the doctoral program is very competitive.
전문 대학원은 다르게 표현합니다
Image by Pixabay
한국에서는 ‘법학전문대학원’, ‘경영대학원’ 등을 모두 “대학원”이라고 하지만, 영어권에서는 구체적으로 나눠 부릅니다.
- Law school: 로스쿨, 법학 전문대학원
- Business school (B-school): 경영대학원
- Medical school: 의과대학원
예문
- She is attending law school in New York.
(그녀는 뉴욕에서 로스쿨에 다니고 있다.) - I want to get into a top business school.
(나는 상위권 경영대학원에 진학하고 싶다.)
대학원 생활을 표현할 때 자주 쓰는 영어 문장
대학원 생활을 설명할 때 자주 쓰이는 표현들도 함께 알아두면 좋습니다. 실제로 외국인과 대화를 나눌 때도 이런 문장들을 응용하면 대학원 생활을 쉽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 I’m writing my thesis for graduate school.
(나는 대학원 논문을 쓰고 있어.) - He dropped out of grad school after one year.
(그는 1년 만에 대학원을 중퇴했다.) - Graduate school requires a lot of research and dedication.
(대학원은 많은 연구와 헌신이 필요하다.) - She is applying for a master’s scholarship.
(그녀는 석사 장학금에 지원하고 있다.)
자주 하는 혼동: College vs Graduate School
많은 한국 학습자들이 college와 graduate school을 혼동하곤 합니다. 미국에서 “college”는 보통 학부 과정(undergraduate)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I’m in college”라고 하면 대학생이지, 대학원생은 아닙니다. 대학원을 다닌다면 반드시 grad school 또는 postgraduate라는 표현을 사용해야 정확합니다.
마무리
Image by Pixabay
정리하면, 한국어의 ‘대학원’은 미국식으로는 graduate school, 영국식으로는 postgraduate course가 자연스럽습니다. 그 안에서 Master’s program(석사 과정), PhD program(박사 과정), 그리고 law school, business school 같은 전문대학원까지 구체적으로 구분해 말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영어로 자기 학력을 설명하거나 해외 대학원 진학을 고민할 때, 오늘 정리한 표현들을 참고하면 훨씬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